콘텐츠로 건너뛰기

About Jeonghwan Jeon


커뮤니티엑스 CommunityX

‘커뮤니티엑스’는 서로 다른 커뮤니티들의 경계에서 개인과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무브먼트입니다. <밀레니얼의 반격(2019)><커뮤니티 자본론(2023)>을 쓴 전정환이 선언하고 실천하는 일과 삶의 기준점이며 미션이기도 합니다.

커뮤니티엑스 웨이 CommunityX Way

“Connect Communities and Co-create Values”

커뮤니티엑스 웨이는 기존의 커뮤니티들의 주변과 경계로부터 ‘서로 다른 커뮤니티들을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실천 방법론’입니다.

왜 지금 ‘커뮤니티엑스 웨이’인가?

우리 사회 곳곳에는 이미 많은 커뮤니티가 존재합니다. 오래전 농경사회와 같이 변화가 빠르지 않던 시대에는 한 번 만들어진 커뮤니티가 비교적 오래 유지됐습니다. 한 사람이 평생 살아가면서 접하는 커뮤니티들도 지금처럼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변화가 빠른 시대에는 다릅니다. 커뮤니티는 빠르게 생겨나고 성장하고 소멸합니다. 한 사람이 사는 동안 수많은 커뮤니티를 접하게 되고 그 커뮤니티의 생성과 성장, 쇠퇴와 소멸에 참여하게 됩니다. 한번 생긴 커뮤니티는 모두 좋은 것일까요? 항상 그것을 유지하고 보존해야만 하는 것일까요? 상황에 따라 다를 것입니다. 생태계에서 영원한 존재는 없습니다. 탄생한 모든 것은 언젠가는 소멸합니다. 생성 초기에는 다양성을 융합하고 사회에 좋은 가치를 주었던 커뮤니티가 시간이 지날수록 폐쇄적인 이익집단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커뮤니티 간에 대립과 갈등으로 치닫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새로운 커뮤니티가 탄생해서 기존 커뮤니티까지 변화를 이루어낼 때입니다.

‘나’는 다양한 ‘커뮤니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나를 둘러싼 커뮤니티를 변화시키고 커뮤니티를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은 나 자신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만들어나갈 수 있다는 것과 같습니다. 기존의 틀에 갇히지 않고 경계를 넘어서 끊임없이 능동적으로 다양한 커뮤니티와 관계를 맺음으로써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엑스 웨이는 다양한 영역을 융합하여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의 변화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지역에는 그곳에서 태어나 살아온 사람들, 리턴한 사람들, 이주민 등 다양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역의 미래를 만들어나가는데 있어 다양한 커뮤니티의 일원들이 경계에서 만나 공감하고 변화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이렇게 지역과 세대의 경계를 넘어서서 새로운 커뮤니티가 탄생하는 과정에서 우리 사회는 더 나은 사회로 변화하고 개인은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전정환 소개

다양한 영역의 경계인이다.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을 전공하였고,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프론트엔드개발본부장, 로컬서비스유닛장, 경영지원유닛장을 역임하면서 지도서비스, 로드뷰서비스 등을 총괄했다. 사내벤처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참여하고 카닥의 전담멘토로 활동했다. Change TF를 만들어 리더십과 변화관리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했으며, 클라이언트 위원회를 통한 사용자 중심의 건축으로 다음스페이스닷투 공간 기획을 리드했다. 2015년부터는 7년간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으로서 ‘새로운 연결을 통한 창조의 섬, 제주’를 비전으로 제주창업생태계를 조성했다.

2022년 커뮤니티엑스를 선언하고 **‘서로 다른 커뮤니티를 연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의 비전에 하여 다양한 일들을 하고 있다. 작가,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크리에이티브시티 컨설턴트로 활동하는 N잡러다.

현재 (2025년)

주요 이력

스타트업 투자

개인 투자 포트폴리오
  • 인프랩(inflearn 운영사) : ‘성장기회의 평등’을 만드는 코딩 교육 스타트업
  • 원루프 : 언제 어디에서나 일할 수 있는 시간제 공간중개 플랫폼
  • 브리크 : 도시, 공간, 사람을 담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 미디어 플랫폼
  • 어니언소프트웨어 : 데이터센터의 효율성과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운영 플랫폼
  • 스포투 :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루틴 기반의 운동에 최적화된 스마트 피트니스 솔루션
  • 올트 : 데이터와 IoT Device를 활용해 제조기업에 최적화된 MRO 통합 구매대행 서비스
기관 투자(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재임시) 주요 포트폴리오
  • 컨텍 : 항공우주 스타트업으로 코스닥 상장(2023년). 센터는 컨텍의 최초 투자자(2019년).
  • 공유어장 : 어부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수산물 D2C(Direct to Customer) 플랫폼.
  • 재주상회 : 제주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큐레이션 플랫폼.
  • 제로포인트트레일 : 제주 해안가에서 출발해 한라산 정상까지 오로지 참가자의 두 발로 정상까지 오르는 트레킹 프로그램.
  • 카카오패밀리 : 과테말라의 카카오원두를 가공하여 다양한 제품을 만드는 푸드테크 기업.
  • 이온어스 : 전력 라스트마일 인디고와 RE100 구독 서비스를 탄소중립 솔루션 기업.

저서/역서/해제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0220636

커뮤니티 자본론 - 나의 제주에서 7년간 창업생태계 실천커뮤니티를 만들어간 이야기 전정환 저 | 클라우드나인 | 2023년 07월 15일

지금 우리에겐 경제적 자본보다 커뮤니티 자본이 더 필요하다!국내 최초 창업생태계 실천커뮤니티 방법론이자 한국 로컬 연대기

우리 사회는 그동안 경제적 자본으로 성장해왔다. 그 과정에서 외형적 성장은 이루어졌지만 압축 성장의 과정에서 수많은 문제를 양산했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 등 곳곳에서 각각의 커뮤니티 간의 단절과 반목은 사회공동체의 붕괴를 우려할 만큼 심각해졌다. 세대, 성별, 지역, 계층 간의 갈등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지 오래다. 이에 저자는 경제적 성장만 추구해왔던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들의 원인은 커뮤니티 간의 단절과 반목 그리고 커뮤니티를 지탱하는 다양한 자본에 대한 이해 부족에 있다고 진단하고 건강한 커뮤니티의 숫자가 많아지고 커뮤니티 자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사회의 선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국내 최고 창업생태계 실천커뮤니티 방법론이자 한국 로컬 연대기이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5625307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창업 생태계의 진화 브래드 펠드, 이언 해서웨이 저/전정환 해제/이정원 역 | 제이커넥트 | 2021년 12월 13일

어느 지역이든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통해 창업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실리콘밸리, 뉴욕, 시애틀, 테헤란로, 판교가 아닌지방의 인구 10만 명 정도의 작은 지역에서도 스타트업은 가능하다

이 책은 어느 지역이든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통해 창업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실리콘밸리, 뉴욕, 시애틀, 테헤란로, 판교가 아닌 지방의 인구 10만 명 정도의 지역도 얼마든지 스타트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전세계 다양한 지역 사례 등을 통해 어디든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통해 스타트업들을 끌어모으고 창업하고 성장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거하고 그 원칙들을 알려준다.

스타트업 커뮤니티란 한마디로 말해 창업자의 성공을 돕기 위해 만드는 것이다.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란 바로 그 스타트업 커뮤니티와 창업 생태계를 발전시키고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련의 원칙과 실행 방법이다. 물론 “세상에 똑같은 스타트업 커뮤니티는 없다.”라는 말처럼 실행 방법을 일괄 적용하기는 어렵다. 스타트업 커뮤니티는 각자 주어진 시간과 장소가 다르고 복잡적응계여서 완전하게 이해하기도 어렵고 과거에서 추론해올 수도 없고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한 철학과 프로세스를 갖는다면 가능하다. 어느 곳의 어느 지역이든 활성화된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통해 저마다의 방식으로 장기간에 걸쳐 노력하고 헌신하면 창업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의 지역 스타트업 커뮤니티와 지역 창업 생태계 구축과 진화에 많은 인사이트를 줄 것이다. 궁극적으로 한국의 모든 지역은 자신의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가져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81524110

밀레니얼의 반격 - 라이프스타일 혁신가들이 몰려온다 전정환 저 | 더퀘스트 | 2019년 10월 30일

재미 · 가치 · No재테크 · Go지방 · 라이프 디자이너
새로운 시대 변화의 시그널에 주목하라!

퇴준생, 멀티Job, 갭이어, 1인가구, Go지방, No재테크, 로컬, 뉴트로, 힙스터, 공유경제…. 계속해서 생겨나는 수많은 트렌드가 기성세대를 당황케 한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기성세대가 만든 사회 시스템과 성공 방식은 더 이상 맞지 않는다며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한 트렌드세터들이 있다. 일명 ‘라이프스타일 혁신가’들이다. 경제·사회·문화 각 분야에서 맹활약 중인 30여 명의 혁신가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보자. 그리고, 이들을 변화시킨 배경과 원인을 함께 분석해보자. 개별적인 트렌드 키워드만 봐서는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세상 변화의 큰 그림이 비로소 보일 것이다.


주요 강연 및 인터뷰 영상

티타임즈, 김미경tv, 서울대학교 최고경영자 과정,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서울시, 경상남도 도청, 성남시 시청, 제주경제대토론회(기조강연), 인구포럼 전남, 인구포럼 전북, 인구포럼 제주, 행안부 청년마을 성과공유회, 한국디자인진흥원, 우분투국제디자인포럼, 도룡벤처포럼, 지리산포럼, 교보 북토크, 최인아책방, 다다르다 북토크, J-Connect Day, BOUNCE, 문화도시박람회 등 다수의 강연 및 인터뷰.

TTimes 인터뷰 (1)
  • 제목  :  1부 - 경제적 자유처럼 커뮤니티 자본을 쌓아야 불행해지지 않는다 - “나의 커뮤니티는 어떻게 자본이 되는가?
  • 주최 : 티타임즈
  • 인터뷰어 : 최재홍 교수
  • 일시 : 2023년 9월 31일
TTimes 인터뷰 (2)
  • 제목  :  2부 - 성공은 무한게임, 커뮤니티 자본에 달렸다. - “타인이 땅을 사도록 하고 사촌을 맺어라”
  • 주최 : 티타임즈
  • 인터뷰어 : 최재홍 교수
  • 일시 : 2023년 9월 31일
책공화국 인터뷰 (1)
  • 제목  :  1부 -  창조도시의 조건 - 기술, 인재 다양성 존중, 그리고 먼저 주기
  • 주최 : 클라우드나인
  • 인터뷰어 : 안현주 대표 (클라우드나인)
  • 일시 :  2024년 6월 28일
책공화국 인터뷰 (2)
  • 제목  :  2부 - 커뮤니티 자본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 주최 : 클라우드나인
  • 인터뷰어 : 안현주 대표 (클라우드나인)
  • 일시 :  2024년 7월 8일 게시


경상남도 도청 강연
  • 강연주제 : 새로운 시대 변화의 시그널과 지역의 기회
  • 주요내용 : 밀레니얼 개척자들의 사회혁신, 행정혁신사례공유 및 전환의 시기 사회변화 대응방안
  • 주최/참석자 : 경상남도 도청 / 김경수 지사 등 고위공무원
  • 일시 : 2021년 5월 28일
  • 장소 : 경상남도 도청
전북 CBS 인터뷰
  • 제목  : 죽어가는 전주 원도심에 투자회사가 온 이유
  • 주최 : 전북 CBS
  • 인터뷰어 : 소민정 PD
  • 일시 : 2024년 10월 19일
2023 BOUNCE 키노트
  • 주제 : 지역 창업생태계, 새로운 연결, 그리고 커뮤니티 자본
  • 주요내용 : 지역 창업생태계에서 새로운 연결과 커뮤니티 자본이 중요한 이유
  • 주최 :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 일시 : 2023년 9월 7일
  • 장소 : 부산 아스티 호텔
2023 지역스타트업생태계 서밋
  • 주제 : [지역스타트업생태계서밋] 제주는 어떻게 ‘연결을 통한 창조의 섬’이 되었나
  • 주요내용 : 제주 창업생태계 7년 조성 경험을 바탕으로 한 커뮤니티 자본의 중요성
  • 주최 : 스타트업얼라이언스
  • 일시 : 2023년 7월 27일
  • 장소 : 부산 누리마루APEC하우스
2022 인구포럼 in 전남
  • 강연주제 : 뉴 노멀, 도시의 반격
  • 주요내용 : 도시간 연결을 통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실현으로 중공업 도시의 인구 문제 해결.
  • 주최/참석자 : 보건복지부, 전남CBS / 전남 광양 시민
  • 일시 : 2022년 10월 4일

컬럼 및 기고 목록

주요 인터뷰 및 관련 기사

Community X Articles

동적 구조화된 스니펫이 여기에 표시됩니다... 사용할 필터와 템플릿이 제공되지 않아 이 메시지가 표시됩니다.